Cinema DAL
Films


공원에서 (At the Park)

관리자
2024-09-25
조회수 36


이미지


공원에서 (At the Park)


[INFORMATION]
감독  손구용  |  2024  |  실험/다큐멘터리  |  86분 


[SYNOPSIS]

오후 두 시경 공원에서 한 여자가 벤치에 앉아 책을 읽고 있다. 한편, 새 한 마리가 나무에 앉고, 구름은 해를 가리고, 고양이는 세수하고, 물레방아는 돌고, 비둘기들은 보도에 앉아 쉬고, 남자는 뜰의 구석에서 서성이고, 나비는 꽃에서 꽃으로 날고, 분수는 솟구치고, 잉어 몇 마리 연못 속에서 헤엄치고, 개미들은 제 할 일에 바쁘다.


[FILMOGRAPHY]

FEATURES 장편

2020 오후 풍경 73min, 연출

-       2021 제 17회 야마가타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 뉴 아시안 커런츠

-       2021 제 23회 부산독립영화제 – 로컬투로컬

2023 밤 산책 65min, 연출

-       2023 제 52회 로테르담국제영화제 – 하버

-       2023 제 24회 전주국제영화제 – 한국경쟁 / 다큐멘터리상

2024 공원에서 86min, 연출

-       2024 제 29회 부산국제영화제 – 와이드앵글 – 다큐멘터리 경쟁

 

SHORTS 단편

2017 산책 20min, 연출

-       2018 제 49회 비전뒤릴국제영화제 – 국제중단편 경쟁

2018 서울의 겨울 25min, 연출

-       2019 제 16회 야마가타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 뉴 아시안 커런츠


[DIRECTOR’S NOTE]

영화 작업에 있어 나는 지금껏 주체와 객체 사이의 거리를 없애는 방법, 즉 일인칭 시점에서 벗어나 카메라의 앞과 뒤에 있는 두 존재가 하나가 되는 지점을 찾고자 노력해 왔다. 이러한 갈망은 인간 중심의 관념에 의한 감각의 왜곡이 없는, 따라서 만물 사이에 위계가 사라진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인식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됐다고 생각한다. 이 영역에서 현상은 인간이 명명하지 않아도 스스로 드러나기 마련이다. 다시 말해 모든 실체는 명사로 머물지 않고 동사화됨으로써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통해 존재하게 된다. 이로써 인위적 개입에서 벗어나 순수한 이미지로 재인식된 사물은 새로운 차원의 배경에 놓이게 되는데, 마치 무화된 듯한, 납작해진 시공간은 유한과 무한을 넘나들며 관념에 의해 협소해진 인간의 인지 범위를 확장시킨다. 이 영화가 각색한 시의 저자 故 오규원 시인은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는 접근 방식을 자신의 시론에서 ‘투명한 이미지’를 추구하는 것으로 구체화했다. 이 영화가 그의 비전과 같은 선상에 있기를 바란다.


[FESTIVALS/WORLD SALES]

㈜시네마달

서울시 종로구 성균관로5길 11-3, 2층

Tel : 02-337-2135 / Fax : 02-325-2137

Email : cinemadal@cinemadal.com


[STILL CUT]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INFORMATION] 
SOHN Koo-yong  |  2024│Documentary│86min

[SYNOPSIS]

Around two o'clock in the afternoon at the park, a woman is reading a book on a bench. Meanwhile, a bird flies on a tree, the clouds cover the sun, a cat grooms itself, the waterwheel spins, pigeons rest on the pavement, a man loiters in the corner of the lawn, a butterfly flutters from flower to flower, the fountain gushes, carps swim in the pond, and ants go about their business.


[FESTIVALS/AWARDS]

2024 The 29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Wide Angle: Documentary Competition

2024 26th Indie Film Festival Busan – Local to Local

2024 50th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 Festival Choice 


[DIRECTOR’S NOTE]

In filmmaking, I have always endeavored to find the means to remove distance between subject and object, namely, striving to abolish the first-person perspective and find a meeting point where both beings that are in front and behind the camera merge. I believe such a longing stems from the desire to perceive the world as it is, where there is no hierarchy among all things and no distortion of sensation by the human-centered concept. In this realm, phenomena manifest themselves on their own, all entities becoming verbal instead of remaining as nouns, existing not separately but through relations. In turn, objects that are free from artificial intervention are re-recognized as pure images and placed in a new dimension. The flattened space-time, seemingly nullified, transcends both the finite and infinite, expanding the scope of human cognition narrowed by ideas. The author of the poem that this film adapts, the late Korean post-modernist poet Oh Kyu-won(1941-2007), specified such an approach to discerning reality in his poetics as seeking the "Transparent Image." I hope this film is in parallel with his vision.


[FESTIVALS/WORLD SALES]

CinemaDAL

(03073)2F, 11-3, Sungkyunkwan-ro, 5-gil, Jongno-gu, Seoul

Tel : 02-337-2135 / Fax : 02-325-2137

Email : cinemadal@cinemadal.com

Homepage : www.cinemadal.com

(주)시네마달


대표자 김일권 | (03073)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5길 11-3(명륜3가) 2층  |  전화번호 : 02-337-2135  |  이메일 : cinemadal@cinemadal.com
홈페이지 : www.cinemadal.com | 사업자등록번호 101-86-69397 


Copyright ⓒ 2025 시네마달 Cinema Dal All rights reserved.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