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국극 끊어질듯 이어지고 사라질듯 영원하다 (Women's Gukgeuk: Enduring on the Edge of Time)
[INFORMATION]
연출 유수연 | 2025 | 다큐멘터리 | 104분
[SYNOPSIS]
누군가에겐 잊혀진 무대, 누군가에겐 영원한 꿈
전통과 현대의 경계에서,
3세대 여성국극인 박수빈과 황지영이 새로운 이야기를 써내려간다.
1세대 여성국극인이자 '정년이'의 실제 주인공
조영숙과 함께 만들어가는 특별한 춘향전.
웃음 속에 담긴 진심이 무대 위에서 빛나는 순간.
모든 경계를 허물고 무대 위에 피어난다!
<여성국극 끊어질듯 이어지고 사라질듯 영원하다>
[DIRECTOR'S NOTE]
2021년, 감독인 나는 판소리 다큐멘터리 <수궁>을 제작하면서 여성국극인 조영숙을 처음 만나게 되었다. 조영숙은 인생 대부분의 시간을 여성국극 무대 위에서 남자로 보내온 여배우였고 개인의 삶 자체가 여성국극인 역사인 사람이었다. 그리고 이내 조영숙의 삶과 예술의 길에 함께 하는 두 명의 제자인 박수빈과 황지영을 만나게 되었다. 두 사람은 선택지가 많은 재능 넘치는 젊은 예술가지만 기꺼이 여성국극 배우의 길을 가고 있다. 여성국극 1세대 배우들과 같이 무대에 섰고 직접 여성국극을 사사 받은 유일한 두 제자는 현재 무대에 서고 싶지만 기회가 없다고 말한다. 그래서 이들은 본인들이 여성국극을 하기 위해 2020년부터 '여성국극제작소'를 만들어 명맥을 잇고 있다. 이들 역시 과거 스승이 그랬듯, 캠핑카에 거주 및 이동을 하며 전국을 돌고 있다.
어쩌면 현대 대중문화에서 가장 변방에 있을 법한 이 예술을 실현하는 여성국극 배우들이 누구도 알아줄 것 같지 않은 이 장르에 자신들의 전 생애를 바쳐온 모습에 감동을 받았다. 전통과 현대라는 극명한 차이와 한계 속에서도, 여성국극을 지키고 이어가려 하는 세 예인의 열정과 집착이 궁금해졌다. 이 여정에 함께 하면서 여성국극 자체가 갖고 있는 매력과 가치는 물론, 함의하고 있는 본질의 의미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어쩌면 삶과 공연을 위해 끊임없이 움직이고 이동하는 이들의 노마드적인 삶에 그 답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결코 쉽지 않은 어쩌면 불가능해 보이는 이 길의 끝은 과연 무엇일까? 삶을 풍요롭게 해 주는 예술과 철학 부재의 시대, 어쩌면 이 여성국극인들의 삶과 이야기들은 우리의 이와 같은 현재를 재인식케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정착하지 않고 멈추지 않으며 끊임없이 이동하고 부유하는 이들의 삶은 아마도 주류 질서의 해체와 균열의 가능성일 수 있다. 차이와 다름을 인정하지 못한 채 차별과 폭력이 난무하는 시대, "보수와 진보", "남자와 여자", "예술과 비예술", "미학과 반미학", "무대와 무대 밖", 그 경계 어디쯤에서 삶과 예술을 철저하게 고민하며 부유하는 이들의 모습에서 어떤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족쇄를 차고 남장을 하며 소리를 내고 춤춰왔던 여성들. 그들은 우리가 그동안 생각했던 선하다고 믿었던 것, 아름답다고 여겨왔던 것, 그리고 주류라고 생각했던 것들을 해체하면서 동시에 다른 가능성들을 이야기했다. 이 힘의 근원을 따라가 보기로 했다.
예술이 관객들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메시지는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해주는 것, 들리지 않는 것을 들리게 해 주는 것이다. 그 가능성을 우리의 현재에서 타진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1950년대 여성국극이 전쟁을 겪은 우리를 위로했듯 2025년도의 관객 역시 이 예인들의 삶과 이야기를 통해 진심으로 위로받고 공감하는 시간이 되기를 희망해 본다.
[FILMOGRAPHY]
장편
2003 <수궁> 100분, HD, 연출, 편집
- 2023 전주국제영화제 - 한국경쟁
- 2023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단편
2018 <어릿광대> 16분, HD, 각본, 연출, 미술
- 2018 동국영화제 - 폐막작
[FESTIVALS/WORLD SALES]
(주)시네마 달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5길 11-3(명륜3가), 2층
Tel. 02-337-2135
Fax. 02-325-2137
Email. cinemadal@cinemadal.com
[STILL CUT]
[INFORMATION]
YOO Su-yeon | 2025 | Documentary | 104min
[SYNOPSIS]
Cho Young-sook, who has continued the tradition of women's gukgeuk for 74 years, has two brilliant students. Park Su-bin has worked as a female performer who plays male roles in women's gukgeuk for more than 20 years. Hwang Ji-young was raised as a female gukgeuk actress. They are running a women's gukgeuk production center and are struggling to continue the momentum of women's gukgeuk, which is losing popular interest. However, it is not easy to continue performing women's gukgeuk, and the two are changing their minds more and more. The two, who want to make a big stage with women's gukgeuk even once before Cho Young-sook passes away, prepare for a performance of "Legendary Chunhyangjeon," thinking that it is their last performance. However, it is not easy to perform in the absence of funding. Park Su-bin and Hwang Ji-young, as third-generation women gukgeuk artists, spend their days searching for teachers, recruiting them, and scrambling to raise funds for the performances.
[DIRECTOR'S NOTE]
I was moved by the way that the female Gukgeuk actors who realize this art, which is currently the most marginal in popular culture, have devoted their entire lives to this genre that no one seems to know. Despite the stark differences and limitations of tradition and modernity, the passion and obsession of the three artists who try to protect and continue women's Gukgeuk became curious. As we go along this journey, we want to find the charm and value of women's Gukgeuk itself, as well as the meanings of its essence. I thought that maybe there is an answer to the nomadistic lives of those who constantly move and move for life and performance. What is the end of this path that seems never easy and perhaps impossible? The era of art and philosophy absence that enriches life, and maybe the lives and stories of these female Gukgeuk people,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recognize our present. The lives of the people who do not settle down, move constantly, and are rich, possibly the possibility of dismantling and cracking the mainstream order.
The biggest message art can give to the audience is to make the invisible visible. To make the inaudible heard. I would like to explore the possibility in our present. And just as the women's gukgeuk in the 1950s comforted us who experienced the war, I hope that the audience in 2024 will be a time of sincere comfort and empathy through the lives and stories of these artists.
[FILMOGRAPHY]
FEATURES
2023 The Underwater Palace, 100min, HD, Director, Editing
- 2023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Korean Competition
- 2023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 2023 LA Independent Women Film Awards - Nominee
SHORTS
2018 The Clown, 16min, HD, Director
[FESTIVALS/WORLD SALES]
Cinema DAL
(03073) 2F, Sungkyunkwan-ro 5-gil 11-3, Jongno-gu, Seoul, KOREA
Tel. +82-2-337-2135
Fax. +82-2-325-2137
Email. cinemadal@cinemadal.com
여성국극 끊어질듯 이어지고 사라질듯 영원하다 (Women's Gukgeuk: Enduring on the Edge of Time)
[INFORMATION]
연출 유수연 | 2025 | 다큐멘터리 | 104분
[SYNOPSIS]
누군가에겐 잊혀진 무대, 누군가에겐 영원한 꿈
전통과 현대의 경계에서,
3세대 여성국극인 박수빈과 황지영이 새로운 이야기를 써내려간다.
1세대 여성국극인이자 '정년이'의 실제 주인공
조영숙과 함께 만들어가는 특별한 춘향전.
웃음 속에 담긴 진심이 무대 위에서 빛나는 순간.
모든 경계를 허물고 무대 위에 피어난다!
<여성국극 끊어질듯 이어지고 사라질듯 영원하다>
[DIRECTOR'S NOTE]
2021년, 감독인 나는 판소리 다큐멘터리 <수궁>을 제작하면서 여성국극인 조영숙을 처음 만나게 되었다. 조영숙은 인생 대부분의 시간을 여성국극 무대 위에서 남자로 보내온 여배우였고 개인의 삶 자체가 여성국극인 역사인 사람이었다. 그리고 이내 조영숙의 삶과 예술의 길에 함께 하는 두 명의 제자인 박수빈과 황지영을 만나게 되었다. 두 사람은 선택지가 많은 재능 넘치는 젊은 예술가지만 기꺼이 여성국극 배우의 길을 가고 있다. 여성국극 1세대 배우들과 같이 무대에 섰고 직접 여성국극을 사사 받은 유일한 두 제자는 현재 무대에 서고 싶지만 기회가 없다고 말한다. 그래서 이들은 본인들이 여성국극을 하기 위해 2020년부터 '여성국극제작소'를 만들어 명맥을 잇고 있다. 이들 역시 과거 스승이 그랬듯, 캠핑카에 거주 및 이동을 하며 전국을 돌고 있다.
어쩌면 현대 대중문화에서 가장 변방에 있을 법한 이 예술을 실현하는 여성국극 배우들이 누구도 알아줄 것 같지 않은 이 장르에 자신들의 전 생애를 바쳐온 모습에 감동을 받았다. 전통과 현대라는 극명한 차이와 한계 속에서도, 여성국극을 지키고 이어가려 하는 세 예인의 열정과 집착이 궁금해졌다. 이 여정에 함께 하면서 여성국극 자체가 갖고 있는 매력과 가치는 물론, 함의하고 있는 본질의 의미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어쩌면 삶과 공연을 위해 끊임없이 움직이고 이동하는 이들의 노마드적인 삶에 그 답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결코 쉽지 않은 어쩌면 불가능해 보이는 이 길의 끝은 과연 무엇일까? 삶을 풍요롭게 해 주는 예술과 철학 부재의 시대, 어쩌면 이 여성국극인들의 삶과 이야기들은 우리의 이와 같은 현재를 재인식케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정착하지 않고 멈추지 않으며 끊임없이 이동하고 부유하는 이들의 삶은 아마도 주류 질서의 해체와 균열의 가능성일 수 있다. 차이와 다름을 인정하지 못한 채 차별과 폭력이 난무하는 시대, "보수와 진보", "남자와 여자", "예술과 비예술", "미학과 반미학", "무대와 무대 밖", 그 경계 어디쯤에서 삶과 예술을 철저하게 고민하며 부유하는 이들의 모습에서 어떤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족쇄를 차고 남장을 하며 소리를 내고 춤춰왔던 여성들. 그들은 우리가 그동안 생각했던 선하다고 믿었던 것, 아름답다고 여겨왔던 것, 그리고 주류라고 생각했던 것들을 해체하면서 동시에 다른 가능성들을 이야기했다. 이 힘의 근원을 따라가 보기로 했다.
예술이 관객들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메시지는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해주는 것, 들리지 않는 것을 들리게 해 주는 것이다. 그 가능성을 우리의 현재에서 타진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1950년대 여성국극이 전쟁을 겪은 우리를 위로했듯 2025년도의 관객 역시 이 예인들의 삶과 이야기를 통해 진심으로 위로받고 공감하는 시간이 되기를 희망해 본다.
[FILMOGRAPHY]
장편
2003 <수궁> 100분, HD, 연출, 편집
- 2023 전주국제영화제 - 한국경쟁
- 2023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단편
2018 <어릿광대> 16분, HD, 각본, 연출, 미술
- 2018 동국영화제 - 폐막작
[FESTIVALS/WORLD SALES]
(주)시네마 달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5길 11-3(명륜3가), 2층
Tel. 02-337-2135
Fax. 02-325-2137
Email. cinemadal@cinemadal.com
[STILL CUT]
[INFORMATION]
YOO Su-yeon | 2025 | Documentary | 104min
[SYNOPSIS]
Cho Young-sook, who has continued the tradition of women's gukgeuk for 74 years, has two brilliant students. Park Su-bin has worked as a female performer who plays male roles in women's gukgeuk for more than 20 years. Hwang Ji-young was raised as a female gukgeuk actress. They are running a women's gukgeuk production center and are struggling to continue the momentum of women's gukgeuk, which is losing popular interest. However, it is not easy to continue performing women's gukgeuk, and the two are changing their minds more and more. The two, who want to make a big stage with women's gukgeuk even once before Cho Young-sook passes away, prepare for a performance of "Legendary Chunhyangjeon," thinking that it is their last performance. However, it is not easy to perform in the absence of funding. Park Su-bin and Hwang Ji-young, as third-generation women gukgeuk artists, spend their days searching for teachers, recruiting them, and scrambling to raise funds for the performances.
[DIRECTOR'S NOTE]
I was moved by the way that the female Gukgeuk actors who realize this art, which is currently the most marginal in popular culture, have devoted their entire lives to this genre that no one seems to know. Despite the stark differences and limitations of tradition and modernity, the passion and obsession of the three artists who try to protect and continue women's Gukgeuk became curious. As we go along this journey, we want to find the charm and value of women's Gukgeuk itself, as well as the meanings of its essence. I thought that maybe there is an answer to the nomadistic lives of those who constantly move and move for life and performance. What is the end of this path that seems never easy and perhaps impossible? The era of art and philosophy absence that enriches life, and maybe the lives and stories of these female Gukgeuk people,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recognize our present. The lives of the people who do not settle down, move constantly, and are rich, possibly the possibility of dismantling and cracking the mainstream order.
The biggest message art can give to the audience is to make the invisible visible. To make the inaudible heard. I would like to explore the possibility in our present. And just as the women's gukgeuk in the 1950s comforted us who experienced the war, I hope that the audience in 2024 will be a time of sincere comfort and empathy through the lives and stories of these artists.
[FILMOGRAPHY]
FEATURES
2023 The Underwater Palace, 100min, HD, Director, Editing
- 2023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Korean Competition
- 2023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 2023 LA Independent Women Film Awards - Nominee
SHORTS
2018 The Clown, 16min, HD, Director
[FESTIVALS/WORLD SALES]
Cinema DAL
(03073) 2F, Sungkyunkwan-ro 5-gil 11-3, Jongno-gu, Seoul, KOREA
Tel. +82-2-337-2135
Fax. +82-2-325-2137
Email. cinemadal@cinemadal.com